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3.3% 프리랜서 겸 사업자, 종합소득세 이렇게 신고하세요 (홈택스 방법 포함)

by bluesky-house 2025. 4. 7.
반응형

프리랜서로 3.3% 세금을 원천징수당하면서 동시에 개인사업자 등록도 한 경우, 종합소득세 신고 시 헷갈릴 수 있습니다. “사업자 매출은 사업소득으로, 프리랜서 수입은 기타소득으로?” 아닙니다! 이번 글에서

홈택스를 통한 실제 신고 방법

까지 자세히 안내해드릴게요.

✔️ 목차

1. 프리랜서 겸 사업자, 수입 유형 구분부터!

많은 분들이 착각하는 부분이 바로 3.3% 프리랜서 수입 = 기타소득이라는 점인데요, 사실 프리랜서 강사, 디자이너, 작가, 마케터 등은 모두 ‘사업소득’에 해당합니다.

즉, 프리랜서 수입과 사업자 매출을 나누지 않고 합산해야 합니다. 두 개가 따로 신고되는 것이 아니라 ‘사업소득’ 항목 하나로 묶입니다.

 

반응형

2. 두 가지 수입, 종합소득세 신고 시 어떻게 합치나요?

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신고 시,

  1. 사업자 등록된 매출 → 사업소득 → 단일사업장 입력
  2. 3.3% 원천징수된 프리랜서 수입 → 사업소득 → 기타사업소득으로 추가

홈택스에서는 하나의 종합 소득으로 자동 계산되며, 원천징수된 세액도 자동 반영되어 세액 계산에 포함됩니다.

3. 홈택스 종합소득세 신고 실제 진행 방법

  1. 홈택스 접속 → [신고/납부] → [종합소득세] → [정기신고]
  2. ‘사업소득’ 항목 클릭 → 사업자 매출 + 프리랜서 수입 입력
  3. 경비 항목, 공제 항목 입력 후 자동 계산
  4. 계산된 결과 확인 후 ‘제출’ 클릭하면 끝!

👉 홈택스 종합소득세 신고 바로가기

4. 신고 전 확인해야 할 절세 포인트

  • 사업용 통장/카드로 분리된 경비자료 정리
  • 신용카드 사용내역 조회로 자동 공제 확인
  • 부양가족 공제, 기부금, 보험료 등 공제항목 체크
  • 홈택스 모의계산 기능으로 환급 여부 사전 확인

📌 마무리

프리랜서 겸 사업자라면 두 수입을 묶어 ‘사업소득’으로 신고하면 됩니다. 혼동 없이 홈택스 단계만 따라가면 직접 신고도 어렵지 않아요! 단,

경비자료와 공제항목은 미리 정리해두는 것

이 핵심입니다.

---

📎 참고 링크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