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환급 가능? 3.3% 돌려받는 법 총정리

by bluesky-house 2025. 3. 25.
반응형

 

✅ 3.3%가 뭔가요?

프리랜서, 강사, 작가, 디자이너, 외주 개발자 등에게 비용을 지급할 때,

원천징수로 ‘소득세 3% + 주민세 0.3%’, 총 3.3%를 미리 떼고 지급

합니다.

예: 1,000,000원을 받는다면 33,000원(3.3%)을 제하고 967,000원이 입금됩니다.

그런데 실제 납부해야 할 세금은 개인의 총소득, 공제 항목 등에 따라 더 적을 수 있기 때문에 초과 납부된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먼저꼭 확인하세요

 

 

📌 3.3% 환급 가능한 조건

  • 3.3% 원천징수로 수입을 받았던 프리랜서/외주/강사 등
  • 2024년 귀속분 종합소득세를 2025년 5월까지 신고하는 경우
  • 공제 대상(기본공제, 교육비, 의료비, 보험료 등)이 많거나
  • 수입 대비 실제 납부 세금이 3.3%보다 낮게 계산된 경우

👉 즉, **신고를 해야만 환급이 가능합니다.** “연말정산 안 해도 되는 직종”이라도 스스로 종합소득세 신고는 꼭 하셔야 환급 가능!

 

 

🧾 환급액 계산 예시

예시: 프리랜서 디자이너 A씨
- 총 수입: 3,000만 원 - 원천징수 세액: 약 99만 원 (3.3%) - 경비 + 공제 적용 후 실제 세액: 약 40만 원 ➡️ 약 59만 원 환급 가능!

 

환급계산기

📝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(홈택스 기준)

  1. 국세청 홈택스 접속
  2. 로그인 후 ▶ 종합소득세 신고 → 신고서 작성
  3. ‘사업소득’ 항목 선택 (3.3% 수입 대상은 사업소득)
  4. 지출 경비, 공제 항목 입력
  5. 계산 결과에서 ‘환급 예상 금액’ 확인
  6. 제출 후 ▶ 계좌 입력하면 환급 진행

📌 환급은 보통 6월~7월 사이에 계좌로 입금됩니다.

 

반응형

---

🎯 이런 분들은 꼭 신고하세요

  • 유튜브, 인스타그램 등 1인 미디어 수익 창출자
  • 강사, 작가, 외주 프리랜서 등 고용계약 없이 일한 분
  • 지출 경비가 많은 프리랜서
  • 국민연금, 의료비, 보험료 지출이 있었던 분

👉 **공제 항목이 많을수록 환급액은 커집니다!** ---

💬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3.3%는 돌려받는 세금인가요?
A1. 아닙니다. 예정된 세금을 미리 납부한 개념이며, 실제 세액보다 더 낸 경우에 한해 환급됩니다.

Q2. 신고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?
A2. 환급도 못 받고, 나중에 소명 요청/과태료 가능성도 생깁니다.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.

Q3. 세무사 안 써도 혼자 신고 가능할까요?
A3. 홈택스로 가능하지만, 경비 계산이 어렵거나 처음이라면 전문가 도움 추천드립니다.

 

🧾 마무리 요약

  • 3.3%는 ‘예상 세금’을 미리 낸 것, 신고해야 환급 가능
  • 경비나 공제가 많다면 실질 세금보다 많이 낸 셈
  • 홈택스에서 간단히 신고 가능! 모르면 전문가에게 맡기자

 

신고대행 세무사 바로가기

 
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