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종합소득세 무신고 가산세, 얼마나 물게 될까?

by bluesky-house 2025. 3. 25.
반응형

 


❗ 무신고란 정확히 어떤 상황을 말하나요?

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자임에도 5월 말까지 아무런 신고를 하지 않은 상태무신고라고 합니다.

보통 해당되는 사람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프리랜서로 3.3% 원천징수만 되고 직접 신고 안 한 경우
  • 사업소득이 있었으나 종합소득세 신고 자체를 하지 않은 경우
  • 부동산 임대소득, 기타소득 등을 신고 누락한 경우
  •  
종합소득세신고하기

💸 종합소득세 무신고 시 부과되는 가산세 종류

구분 내용 가산세율
무신고 가산세 정해진 기한 내 신고하지 않은 경우 납부세액 × 20%
납부불성실 가산세 기한 내 세금을 납부하지 않은 경우 일수에 따라 1일 0.025%
과소신고 가산세 신고했지만 일부 수입 누락 시 10~40% (사안에 따라)

예: 납부세액이 300만 원이라면
무신고 가산세만 60만 원, 납부불성실 가산세가 더해져 총 70만~90만 원까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
 

반응형

🧮 가산세 줄일 수 있는 방법은?

1. 자진신고 감면

  • 국세청 통보 전에 스스로 신고하면 무신고 가산세 50% 감면
  • 납부불성실 가산세는 발생하지만  전액보다 줄어듦

2. 수정신고 및 경정청구

  • 신고했지만 누락이 있었다면 수정신고 가능
  • 과다 납부한 세금은 경정청구를 통해 환급받을 수 있음

3. 세무사 상담

  • 복잡한 케이스(예: 외주 수입, 임대소득 혼합)라면 세무 전문가의 자문 필수
  •  
세무사상담바로가기

---

📌 무신고 가산세 피하는 실전 팁

  • 5월 이전에 홈택스 알림을 확인하고 신고 여부 체크
  • 간편장부 대상이라도 소득 금액이 있다면 신고 필수
  • 모를 땐 일단 홈택스 [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자 여부 확인] 메뉴 이용

 

 

💬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무신고해도 국세청에서 연락 오기 전까지 안 내도 되나요?
A1. 아닙니다. 사전 자진신고가 훨씬 유리하며, 나중에 적발되면 가산세가 더 커집니다.

Q2. 3년 이상 신고 안 한 경우도 자진신고 가능한가요?
A2. 네, 과거 연도까지 신고 가능하며 자진신고 감면도 일부 적용됩니다.

Q3. 납부할 돈이 없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?
A3. 홈택스에서 분납 신청 또는 납부유예 신청이 가능합니다.

---

📝 마무리 요약

  • 무신고 시 납부세액의 20% + 납부불성실 가산세 부과
  • 자진신고로 감면 가능, 최대 50%↓
  • 전문가 도움을 받으면 더 정교한 절세도 가능

 
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