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건강검진에서 저선량 CT를 받았는데, 검사 결과 ‘결절 있음’이라는 소견을 받았다면 당황스러우실 수 있습니다. 하지만 모든 결절이 폐암은 아닙니다. 이번 글에서는 결절 발견 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안내해드립니다.
✔️ 목차
1. 폐결절이란?
폐결절은 폐에 생긴 작은 혹(혹은 그림자)입니다.
흔히 지름 3cm 이하의 고형 혹을 의미하며, 대부분은 양성(=비암성)입니다.
원인은 다양하며, 과거 감염 흔적, 섬유화, 낭종 등이 대표적입니다.
2. 어떤 결절이 위험한가요?
다음과 같은 결절은 정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:
- 크기 8mm 이상
- 불규칙한 가장자리
- 빠르게 자라는 양상
- 과거 폐암 병력 or 가족력 있는 경우
3. 추적검사나 조직검사 언제 필요한가요?
결절이 6mm 이상인 경우 보통 3~6개월 후 추적 CT를 시행하게 되며,
필요시 조직검사(기관지 내시경·세침흡인 등)을 고려합니다.
중요한 건, 초기 폐암도 결절 형태로 발견될 수 있으니 방치하면 안 됩니다.
4. 실비보험 적용될 수 있나요?
국가 폐암검진은 원칙적으로 실비 적용 대상이 아니지만,
이상 소견(결절) 발견 후 병원 진료·정밀검사를 받으면 실손청구가 가능합니다.
단, 병원의 ‘의학적 필요성’ 진단서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.
👉 관련글: 국가 폐암검진 대상자 조건, 나도 무료일까?
📌 마무리
폐결절은 가볍게 넘기면 안 되지만, 너무 불안해할 필요도 없습니다. 정기적인 추적검사와 전문의 상담을 통해 안전하게 관리하세요!
---📎 참고 링크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