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✔️ 목차
1. IRP와 연금저축, 기본 개념부터
노후 준비를 위한 대표적인 세액공제 상품 2가지가 연금저축과 IRP(개인형 퇴직연금)입니다.
두 상품 모두
연 400~700만 원까지 납입 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절세형 노후 상품
이에요.
- 연금저축: 가입 조건 거의 없음, 수수료 낮음
- IRP: 직장인이 퇴직금 넣는 계좌이기도 함, 의무 연금화 조건
2. 세액공제, 납입 한도, 수수료 비교
구분 | 연금저축 | IRP |
---|---|---|
세액공제 한도 | 400만 원 | 700만 원 (연금저축 합산) |
세액공제율 | 13.2~16.5% | 13.2~16.5% |
중도해지 조건 | 유연함 | 불이익 큼 |
의무 연금화 | 있음 | 강제적 |
수수료 | 낮음 | 기관별 다름 |
반응형
3. 직장인은 무엇부터 시작해야 유리할까?
결론부터 말하면, 연금저축 → IRP 순서가 유리합니다.
- 연금저축은 수수료 낮고, 투자 운용도 자유로워서 관리가 쉬움
- IRP는 연금저축 한도를 다 채운 후, 추가 공제를 위해 활용
- 퇴직금이 IRP에 들어가 있다면, 추가 납입은 신중하게
시간이 없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연금저축펀드 개설입니다.
4. Q&A: 헷갈리는 부분 정리
Q. 연금저축만 있어도 충분할까요?
▶ 연 400만 원까지 공제받는 걸로 충분한 경우, IRP 없이도 됩니다.
Q. 둘 다 가입해도 되나요?
▶ 네! 단, 두 계좌 합산 700만 원까지만 공제 대상입니다.
Q. IRP가 의무 연금화라는데요?
▶ 네. IRP는 55세 이후 연금형태로 5년 이상 수령해야 세제 혜택이 유지됩니다.
---
📌 참고 링크
반응형